티스토리 뷰

<목차>



     "완치가 가능한 폐암 치료제가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고요?"

    유한양행 렉라자

     

    국산 최초의 3세대 표적항암제 <렉라자(Leclaza)>는 단순한 폐암 치료제를 넘어, 뇌전이 억제·완전관해(pCR)·건강보험 급여 적용까지 이뤄낸 이례적인 신약입니다. FDA 승인, 국내 사용 확대, 실제 완치 사례 등 이슈는 더 뜨거워지고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렉라자정의 가격, 완치 가능성, 부작용, 최신 개발 현황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. 

    렉라자정

    렉라자란?

    렉라자(Leclaza)는 유한양행이 자체 개발한 3세대 EGFR-TKI(티로신 키나제 억제제)로, EGFR 변이 중 특히 T790M 내성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합니다.

    • 성분명: 레이저티닙 (Lazertinib)
    • 표적: EGFR 엑손 19 결손 / L858R / T790M 돌연변이
    • 효능: 뇌전이 억제, 내성 극복, 정상세포에 낮은 독성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🌍 얀센과의 글로벌 병용 임상 – 그리고 종료

    • 유한양행은 얀센과 공동으로 리브리반트(Rybrevant) + 렉라자 병용요법을 통해 글로벌 3상(MARIPOSA) 임상을 진행했고, 2023년 미국 FDA로부터 병용요법 허가를 획득했습니다.
    • 하지만 2024년 하반기, 얀센은 4세대 EGFR-TKI 개발에서 철수하며 유한양행과의 추가 공동개발 계약은 종료되었습니다. 이에 따라 단독 및 병용 임상 이후의 개발은 유한양행 주도로 변경되었습니다.

    🔗 출처: https://www.bosa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237781

     

    [2024년 결산]렉라자 병용요법 미국 FDA 승인 '새역사' - 의학신문

    [의학신문·일간보사=김영주 기자]유한양행 렉라자의 미국FDA 판매승인은 왜 제약바이오산업계가 주문 외듯 ‘신약개발, 신약개발’ 하는 지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.비소세포폐암 치

    www.bosa.co.kr

     

    렉라자정 가격 & 건강보험 급여 적용 (2025년 최신 기준)

    비급여 기준 가격

    • 월 약 570만 원
    • 연간 약 6,800만 원 수준

    2024년부터 건강보험 급여 적용

    • 본인부담금 약 5%
    • 월 약 28만 원 / 연간 약 340만 원 수준으로 대폭 경감

    급여 적용 조건

    • EGFR 변이(Exon19 del, L858R) 양성 NSCLC 환자
    • 국소 진행성 혹은 전이성 1차 치료 시 적용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렉라자 가격

    완치 가능성? 첫 완치 사례 등장

    렉라자 완치사례

    2024년 하반기 국내 발표에 따르면, EGFR L858R 변이를 가진 63세 남성 폐암 환자가 6개월간 렉라자 단독요법으로 영상학적 완전관해(CR), 이후 수술을 통해 병리학적 완전관해(pCR)를 달성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.

    • 치료 전 상태: 4기 NSCLC, 뇌전이 없음
    • 치료 과정: 렉라자 단독 투여 후 종양 소실 → 절제술
    • 결과: 병리학적으로 암세포 0%, 12개월 이상 무재발

    🔗 출처: https://www.ebn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56463

     

    유한양행 폐암 치료제 ‘렉라자’ 첫 완치 사례 보고 - 이비엔(EBN)뉴스센터

    유한양행이 개발한 비소세포폐암(NSCLC) 신약 ‘렉라자’(성분명 레이저티닙)를 투여받은 환자가 완치 판정을 받은 사례가 최초로 보고됐다.25일 안준홍 영남대학교

    www.ebn.co.kr

     

    복용법 및 부작용

    렉라자정 부작용

    복용법

    • 하루 1회 240mg 경구 투여
    • 식사와 무관하며, 꾸준한 복용이 중요 주요

    부작용

    • 발진, 설사, 피로감 (Grade 1~2 경미)
    • 드물게 간질성 폐질환(ILD), 간수치 상승 → 모니터링 필요

     

    🔍 최근 부작용 관련 보고에 따르면, 전체 환자의 약 20~25%에서 피부 반응 또는 위장장애가 나타났으며 대부분 약물 중단 없이 조절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✅ 요약하자면?

    렉라자는 여전히 유효한 1차 치료제 옵션이며, 향후 유한양행 단독 개발 체제에서의 신속한 후속 연구와 전략이 중요한 시점입니다.

    렉라자정 요약
    렉라자정 요약